
최근들어 지속경영이 기업에 대한 투자의 기준으로 자리잡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들의 지속경영보고서 및 CSR 보고서 발간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. 이에 따라 기업들이 통상적으로 자사의 영업보고서를 회계감사기준에 맞추어 감사를 하는 것과 같이 지속경영보고서도 그 내용의 충실성 및 신뢰성에 대한 검증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. 특히 검증을 통하여 이해관계자의 신뢰성을 획득하고, 현재의 수준을 파악하여 개선점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.

점차 증가하는 지속경영보고서 가운데 보고서 내용의 충실성 및 데이터의 객관적 검증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공신력 있는 제3자 기관에 검증을 의뢰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.

기업의 이해관계자는 해당 기업의 지속경영보고서에 대하여 공인된 기관의 검증을 통하여 보고 내용에 대한 신뢰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.

기업은 검증기관의 검증을 받음으로써 보고서의 내용 및 자사의 현재 수준에 관한 개선사항을 파악하는 기회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.

포춘250개 기업 중 30%, 16개국의 TOP 100기업 중 33%가 지속경영보고서를 외부검증 받은 것으로 밝혀졌습니다. 이 기업들은 검증과정을 통하여 정보의 신뢰성 향상은 물론 경영시스템, 보고시스템 등 보고서 작성을 위한 전 프로세스 향상에 도움을 받았다고 전하였습니다.


피검증기관이 지속경영보고서에 대한 검증을 요청시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프로세스로 진행됩니다.
